항해 시즌2
취업이 가능할까 의문이 들었지만,
결국 원하는 곳에 입사하게 되었고 오늘 첫출근!
다시 출항이다!
갈아넣어보자!
오늘 한일
- NEO(New Employee Orientation) : 협업 툴, 회사일정 및 전체적인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 M1 맥북을 처음 접하는 나는 출근전 미리 받아 이리저리 가지고 놀았는데, 아직 많이많이 익숙해져야 할것 같다.
- CTO님이 내주신 사전과제들을 오늘 마무리 하면서 항해 때는 코드구현하기 급급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만 구현한다고 생각해서 개발환경 구축이나 배포등은 하나도 신경안썼는데 리액트 네이티브의 개발환경 구축하는게 너무 어려웠다.
개발환경이슈해결도 개발능력! - 매일매일 기록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할정도로 너무 방대한 양의 정보가 오늘 하루에 밀려들어왔다. 기록하자!
오늘 배운것
- 리액트 네이티브 환경 맥북에서 구동 후 안드로이드와 IOS 실행
- 초기개발환경 세팅(M1) 과 Rosetta
개발환경 세팅 시 블로그글들을 보면 로제타를 사용해서 멀티환경을 구성하라는 글들이 있는데
m1기준으로는 절대 그렇게 해서는 안됨.
로제타는 애플 실리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인텔용으로 만들어진 앱을 번역해주는 '번역기' 인 셈인데,
로제타로 m1제품을 사용하는것은 한국말 잘 알아듣는 한국인에게 한국말번역기를 씌운것과 같음.
즉, 성능을 절반 포기하고 개발환경에 진행하는셈. - Failed to launch emulator. Reason: No emulators found as an output of `emulator -list-avds`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ios 실행후 xcode 에뮬레이터 구동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했는데 나의 경우에는 xcode에서 location에서 Command Line Tools의 Location이 비어있었고 재설정해주니 정상적으로 구동되었다. - 터미널에서 VScode 실행하는방법(맥)
vscode열고 Command + Shift + P 입력 후 아래 명령 실행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
PATH설정하고 터미널에서 code ~입력하면 자동으로 vscode로 이동 - error: Can't find the 'node' binary to build the React Native bundle. If you have a non-standard Node.js installation, select your project in Xcode, find 'Build Phases' - 'Bundle React Native code and images' and change NODE_BINARY to an absolute path to your node executable. You can find it by invoking 'which node' in the terminal.
yarn start로 서버구동 하지 않은 상태에서 yarn android 또는 yarn ios를 바로실행할 경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데 해결이 필요하다
내일 할일
- 리액트 네이티브 내비게이션바 공식튜토리얼 관련 이해 및 구현완료
- yarn start없이 yarn android+ios 실행후 생기는 node 에러 처리 해결
- 콘핀 기술블로그 초기개발환경 세팅(m1) 및 리액트네이티브 초기 세팅관련 기술글 정리 필요
- 공식문서 + 리액트 네이티브 다루는 기술 기반 학습
- AWS람다 찾아보기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2.02.18 - CMAF, HLS (0) | 2022.02.19 |
---|---|
[TIL]22.02.17 - 첫 업무 (0) | 2022.02.17 |
[TIL] 2022.02.16- React native / redux (0) | 2022.02.17 |
[TIL] 2022.02.15 - React-native (0) | 2022.02.16 |
[항해99] 99일간의 변화 (0) | 2021.12.20 |